귀농.귀촌 자료

[스크랩] 도라지 재배방법

DALBAWOO 2009. 5. 7. 18:10


가. 재배적지

 (1) 기 후

  초세가 강한 식물이므로,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다.


 (2) 토 양

   ○ 부식질이 풍부하고 부드러운 땅

   ○ 물빠짐(排水)이 좋은 식질양토나 사질양토

   ○ 물빠짐이 좋지 않은 점질토양, 이어짓기에서는 뿌리썩음병(根腐病) 발생이 많다.


나. 분포 및 용도

 (1) 분 포

  우리나라 전국 각지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에 많이 분포)


 (2) 용 도

  거담, 해소, 기관지염, 호흡곤란, 편두선염, 복통, 지혈 등


다. 품 종

  약용으로 도라지(桔梗)는, 백도라지 계통(P.grandiflorum)이 재배되고 있으나 품종은 명명 된 것은 아직 없다.


라. 번 식

  번식은 주로 종자로 하며, 직파 재배법, 육묘이식 재배법, 산지 재배법 등이 있다.


(1) 직파재배법

 (가) 파종시기

   ○ 봄 - 3월 하순~5월 상순

   ○ 가을 - 10월 상순~11월 중순

     ※ 가을에 파종할 때는 겨울 동안에 싹이 트지 않도록 좀 늦게 뿌리는 것이 안전하다.


 (나) 파 종 량

  3~4ℓ정도로 젖은 톱밥이나 모래를 종자량의 3~4배에 혼합하여 뿌리며 고루 뿌릴 수 있다.

    ※ ㎡당 적정주수는 200~300주 정도가 알맞다.


 (다) 시 비 량

  밑거름(基肥)은 파종 15일전쯤 뿌리고, 깊이 갈아주고 추비는 6월 하순 꽃망울이 설때, 7월 하순 꽃이 필때, 2회로 나누어 준다.


(2) 육묘이식 재배법

  본밭에 바로 종자를 뿌리면 풀매기가 힘들고, 1년동안 모판에서 모를 키워 본에 옮겨 심게 되면, 노력이 많이 들어 풀매기와 별 차이 없으며, 옮겨 심을때근(直根) 절단에 의해 잔뿌리가 많아 품질이 떨어진다. 그러나 포장 이용율을고자 부득이 옮겨심기를 해야 할 경우에는, 다음 요령에 의하여 모를 키울수 있다.

  (가) 파종시기:봄 3~4월

  (나) 묘판 소요면적:10a당 33㎡

  (다) 10a당 종자 소요량:1.2~1.5ℓ

  (라) 모판관리

   ○ 파종 후 종자에서 싹이 튼 후, 5월하순경 포기사이를 3~4㎝거리로 솎아 준다.

   ○ 여름철 2회 제초하고, 6월 하순, 7월하순경 제초하기 전에 웃거름(追肥)을 유기질 비료로 33㎡에 800g 정도 준다.

 (마) 아주심기(定植)

   ○ 대체로 1년간 육묘한 다음해 봄에 옮겨심기하여, 이랑나비(畦幅) 90~120㎝로 이랑을 짓고, 심을 골을 10㎝거리에 10㎝깊이로 판 다음 6㎝ 간격으로 뿌리를 배열하여 심는다.

  ○ 옮겨 심을 때 뿌리는 가급적 곧게 심되, 묻기 전에 물을 충분히 주고 심으면, 활착이 잘된다.


(3) 산지재배법

  야생종과 인공재배종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야생종은 자연산 그대로 산야에 자생되므로 오랫동안 생장하는 것이고 인공재배종은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을  얻을 수 있는 서로의 장점과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근래의 국민 생활수준이아지므로 인공산보다도 자연산의 기호도가 높아지는 경향은 산채나 약초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인삼은 산삼과 인공재배 삼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산삼도 아니고 재배삼도 아닌 "장뇌"라는 것을 재배하여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강원도 정선군의 일부 농가의 재배사례를 착안하여 도라지(桔梗)도 자생종도 재배종도 아닌 산지 재배법을 구상하여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으므로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도라지(桔梗)는 인공재배 하면 파종 1~2년 후부터 수확할 수 있으나, 산지 재배는 조방재배(粗方栽培)되어 4~5년 후에 수확이 가능한 점을 먼저 잘 알고 재배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산지재배를 하려면 먼저 야산에 나무가 울창하지 않은(최근 벌목된 곳은 더욱 좋음)곳, 햇볕 쪼임이 50% 정도인 지역으로 경사가 너무 심하지 않고 토심이 깊으며, 물빠짐이 좋은 지역으로 잡목의 키가 1m이상 되지 않는 벌목지를 적지로 보면 좋겠다.

  그러면 산지재배시의 파종시기는 봄과 가을에 할 수 있으나, 봄에는 땅을 일굴 수 있는 한 일찍 하고, 가을에는 그 해에 종자에서 싹이 트지 않도록 늦게 파종하여야 한다.

  즉 봄에는 늦은 겨울 2월 하순경 나무사이를 농기구로 파종할 파구를 일굴 수 있는 시기면 더욱 좋겠으며, 그렇지 못하면 전년 가을에 파구(播溝)를 작성 해두고 다음해 봄 일찍 파종하는 것이 좋다. 가을재배는 땅이 얼기 전 파구(播溝)를 작성하여 겨울동안에 종자에서 싹이 나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좀 늦게 파종하여야 한다. 그러면 봄, 가을 산지에 파종한 것을 포장에 파종된 것보다 빨리 종자에서 싹이 나오게 되며, 초기의 생육은 매우 양호하게 된다.

  그러나 주위의 잡초가 너무 무성하게 되어 도라지는 잡초와 경합되어 잡초의 생육보다 늦어지게 되므로 7월 하순부터 15~20일마다 제초하여 주는데 처음에는 약 10㎝정도, 다음에는 5㎝정도, 다음에는 10㎝ 정도 등 즉, 한번은 높게 한번은 얕게 반복하여 제초하게 되면 그사이에 도라지의 뿌리는 굵고, 길어져 잡초보다 생장이 왕성하게 된다. 그 다음해부터는 제초에 큰 어려움이 없이 도라지의 자생력을 인정하게 되어 산지 재배법은 성공되리라 보며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자생종과 재배종의 중간 상품으로써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마. 본밭관리

 (1) 솎음질

   ○ 시기 및 방법 - 밭에 바로 심었을 때(直播栽培法)는, 늦어도 5월 상순이면 싹이 트므로 본잎이 3~4매 되었을 때, 포기사이(株間)를 5~6㎝정도 되도록 솎아주고 비가 온 후 땅에 수분이 충분할 때 솎음질하면 뿌리가 끊어지지 않고 잘 뽑힌다. 만일 솎음질할 때 줄기와 뿌리사이의 부위가 잘라지면 다시 싹이 돋아나서 다시 솎음질을 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므로 건조할 때 보다 수분이 적합할 때 해주는 것이 좋다.


 (2) 김매기

   (가) 1년차

  6월 상순, 7월 중순 2회에 걸쳐 김매기를 하는데 제초제는 MO유제, 데브리놀수화제를 선택하여 골고루 살포하면 80~90%의 제초노력을 절감 할 수 있으나 이때 파종이랑 면을 균일하게 고르지 않으면 약해가 우려된다.

   (나) 2년차

  3~4월경 도라지 싹이 나오기 전에 제초제 씨마진수화제나 마세트, 랏쏘유제 등을 뿌려주면 잡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3) 적심 및 적화

  채종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면 꽃망울이 들기 시작할 때 적심을 하여야 하며 가급적 꽃이 피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뿌리 발육이 좋아진다.


바. 병충해 방제

 (1) 병 해

  (가) 발 병

   ○ 점무늬병:잎에 원형의 회백색 반점이 생긴다. 병원균 Septoria Platycodonis

   ○ 줄기마름병:잎, 줄기에 발생하며, 적갈색의 반점이 생긴다. 병원균은 Phoma Sp.이다.

     ※ 이외에 눈마름병, 꽃썩음병, 줄기썩음병, 균핵병, 시들음병등이 발생한다.

  (나) 방 제

   ○ 경종적 방제:병든 식물을 제거하여 태워 버리며 과습을 방지하고 식물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 화학적 방제:고시된 농약이 없으므로 과수나 채소 방제로 쓰이는 약제를 이용하되 농약 안전사용 기준을 준수한다.


 (2) 충 해

  (가) 진딧물

    ○ 발생:1년에 봄, 가을 2회에 걸쳐 진딧물이 발생하나 큰 피해는 없으며, 평야지 인가(人家) 근처에서 더욱 심하다.

    ○ 방제:진딧물이 발생시 데시스, 메타유제 등 진딧물 농약 1000배액이나, 피리모 1000배액으로 구제한다. 이때 살충제 DDVP를 첨가 해주면 효과는 더 크다.

  (나) 담배나방

    ○ 발생:5~6월경 새로 돋아난 어린 싹을 가해하거나, 7월경 새순을 가해하며, 흑색으로 길이가 2~3㎝인 애벌레이다.

    ○ 방제:유기인제 1000배액을 뿌려주면 방제된다.


사. 수 확

  길경은 파종 후 알맞은 관리만하면 2년차 가을에 생뿌리 무게(生根重) 25g, 굵기 2㎝, 길이 20~30㎝의 뿌리를 수확할 수 있다. 그러나 수확 시기는 식용으로 할 때는 년 중 시장시세에 따라 수확하지만 약용으로 쓸 때는 가급적 3~4년생을 수확해야 우수한 품질의 건재약 뿌리로 쓸 수 있다.


 (1) 식 용

  1년 중 값이 가장 비쌀 때는 1~3월초로써 이때는 땅이 얼어있어 도라지를 수확 할 수 없는 시기이므로 값이 높다. 그러므로 전년도 늦은 가을에 땅이 얼기전에 수확하여 간이 움저장을 해두고 적절한 시기에 출하한다.


 (2) 약 용

  한약재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가을에 지상부가 완전히 말라 죽으면 수확한다.


아. 조제 및 건조

 (1) 조 제

  수확한 길경은 대나무 칼로 껍질을 깨끗하게 벗겨 맑은 물에 씻은 다음 햇볕이나 건조기에 말려야 한다.


 (2) 건 조

  과거에는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리었으나 최근에 건조기가 많이 보급되어 벌크 건조기(담배 건조기)를 이용하여 50~60℃의 온도에 건조하면 3~4일만에 깨끗하게 건조되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햇볕이나 그늘에서 말리다보면 황갈색으로 변색될 수도 있는데 이런 제품은 품질이 불량하므로 가격이 낮아진다.


도라지(桔硬)에 대한 질소분시 비율 개선

 


1. 머리말

  길경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도라지의 뿌리이다. 꽃의 색깔은 백색, 자색, 분홍 등 홑꽃과 겹꽃이 있는데 7~8월에 개화한다. 비옥한 식양토에서 생육 및 수량이 높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 비교적 토양을 가리지 않는 편이다.

  우리나라의 산야에 많이 야생하고 있는 것은 대체로 자색의 꽃이 피는데 농가에서는 대부분 백색과 자색의 혼종으로 재배되고 있다.

  ′99년 약용작물의 재배면적은 9,598㏊로 그중 길경은 692㏊로 5번째를 차지하고, 매년 생산되는 양은 29,504톤으로 첫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도라지는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맛은 쓰고 조금 맵다. 가정에서는 주로 식용나물로 이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푸라티코딘, 사포닌, 이누린, 피토스테롤 등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 거담, 진해, 항균,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며, 폐의 숨가쁨, 인후통과 가슴 옆구리 등 허리가 결리고 아픈 것을 고친다.


2. 재배방법

  영남농업시험장에서 육성중인 ′밀양 1호′를 4월 10일에 파종하였다. 재식밀도는 20㎝ 10㎝로 하였고, 파종량은 10a에 2㎏으로 파종한 후 짚으로 피복하였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15㎏, 인산 18㎏, 칼리 15㎏, 퇴비 2,000㎏ 수준으로 하고, 비료의 처리방법으로 인산, 칼리는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고 질소는 기비, 추비 2회로 나누어 시용 하였는데 1년생은 100:0:0, 70:15:15, 50:25:25, 30:35:35의 비율로 4처리로 하였는데, 추비는 1998년 6월 20일과 7월 20일 2회로 나누어 주었다. 2년생은 기비는 주지 않고  추비만을 100:0, 7:3, 1:1, 3:7 비율로 나누어 주었는데 1년생과 같은 시기에 주었다.


3. 도라지 지상부 생육

  지상부 생육은 연차간에 많은 차이가 있었는데, 출현기는 1년생은 4월 20일에 대부분 출현 하였고, 2년생은 4월 11~12일 사이에 모두 출현하였다.

  2년생의 줄기의 길이는 82㎝정도로 1년생에 비해 42~47㎝정도 더 컸으며, 전반적인 식물체상태가 크고 개화도 한달 정도 빨랐다. 1년생의 질소 나누어주기 처리간 지상부 생육은 기비와 추비 비율을 3:7로 시용했을 때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키가 크고, 줄기도 굵었으며 분지수, 잎사귀 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년생에서는 1:1 추비구가 7:3 추비구보다 줄기가 굵고, 분지수, 잎사귀 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시험 후 토양을 분석한 바 1:1 추비구가 생육이 좋았던 것은 유기물과 유효인산이 함량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도라지 지상부 생육

(조사시기:개화기)

재배

년차

 질소 분시율(%)

출현기

(월.일)

개화기

(월.일)

경 장

(㎝)

경 태

(㎜)

분지수

(개/주)

엽 수

(개/주)

기 비

추  비

 1년

 100

  70

  50

  30

     0

15-15

25-25

35-35

4.20

4.20

4.20

4.20

8.5

8.5

8.6

8.5

37

35

36

40

5.1

5.4

5.7

5.9

5.5

4.7

5.3

5.7

34

30

34

39

 2년

  -

100:0

  7:3

  1:1

  3:7

4.11

4.12

4.12

4.12

7.6

7.6

7.7

7.7

84

77

79

87

5.8

6.2

6.6

6.1

11.6

7.9

13.0

14.0

58

52

57

55


4. 지하부 생육 및 수량

  지하부 생육과 수량은 위표와 같이 연차간에 많은 차이가 있었는데, 1년생의 원뿌리 길이는 7.3㎝에서 11.1㎝ 범위였고, 곁뿌리수도 주당 4.4개에서 5.7개였으며 원뿌리 굵기는 5.8㎜에서 6.2㎜ 범위였는데, 2년생은 원뿌리 길이가 15.9~16.5㎝이고, 원뿌리 굵기는 11.2~12.3㎜로 1년생의 2배정도 컸고, 곁뿌리수는 주당 5.5개에서 5.7개 범위로 1년생과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년생의 10a당 최고수량은 생근일 경우 457㎏, 건근은 92㎏인데 비하여 2년생은 생근 898㎏, 건근 230㎏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2년근의 비료 나누어주기 처리효과를 보면, 추비를 한꺼번에 주는 것보다는 1:1 비율로 2회 나누어 주는 것이 원뿌리 길이가 길었고, 곁뿌리 수도 많았으나, 원뿌리 굵기는 3:7 비율의 추비구가 더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2년생의 생근과 건근 수량을 보면 1:1 비율의 추비구가 생근과 건근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7 비율의 추비구이었다. 도라지는 1년생 뿌리를 수확하는 것보다는 2년생 뿌리를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년차 에는 비료 나누어주는 양을 기비와 추비를 1:1 비율로 하되, 추비도 2회로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좋으며, 2년차에는 추비만 시용하는데 1:1 비율로 나누어주면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도라지 지하부 생육 및 수량

(1년생:98. 10. 23, 2년생:99. 10. 23조사)

재배

년수

질소 분시율(%)

주근장

 (㎝)

지근수

(개/주)

주근경

(㎜)

건물율

(%)

수량(/10a)

기 비

추 비

생근

건근

지수

1

100

 70

 50

 30

0

15-15

25-25

35-35

  7.3

  9.8

 11.1

 10.9

4.5

5.0

5.3

4.4

6.2

5.9

6.2

5.8

19.4

19.8

20.1

20.2

387

359

457

420

 75

 71

 92

 85

106

100

130

120

2

-

100:0

  7:3

  1:1

  3:7

 15.9

 15.9

 16.5

 16.2

5.6

5.5

5.7

5.6

11.9

11.2

11.5

12.3

25.4

25.2

25.8

25.0

837

813

898

892

211

206

230

226

102

100

112

110


5. 비료 나누어주기 비율별 길경의 조사포닌 함량

  2년생 근의 조사포닌을 조사한 결과 질소비료를 한번에 준 것보다는 2회로 나누어 준 것이 함량이 높았는데 그 중에서 1:1 비율로 나누어 줄 때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7:3 비율로 나누어 줄 때이었다.


비료 나누어주기 비율별 길경의 조사포닌 함량(2년근)

분  시  율 (%)

조사포닌 함량(%)

1차 분시

2차 분시

100

 70

 50

 30

0

 30

 50

 70

4.01

 4.45

 4.68

 4.42


6. 요 약

  도라지 재배시 질소비료 나누어주기 처리효과를 보면 1년생에서는 기비와 추비를 1:1 비율로 주되 추비 역시 1:1비율로 나누어 주는 것이 뿌리생육이 가장 좋았고, 2년생에서는 기비는 주지 않고 추비만을 1:1 비율로 주는 것이 7:3 비율로 주는 것보다 줄기가 굵고, 곁가지 및 잎사귀 수도 많았다.

  2년생 식물체의 지하부 생육은 1:1 비율의 분시구에서 원뿌리가 컸고 잔가지도 약간 많았으며, 뿌리 두께도 굵었다. 따라서 수량도 230㎏/10a로 7:3 비율의 분시구보다 30%정도의 증수를 보였다. 분시 처리 비율간조 Saponin 성분은 1:1 비율의 분시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7:3 비율의 분시구이었다. 도라지는 1년생 뿌리를 수확하는 것보다는 2년생 뿌리를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년차에 비료 나누어주기 비율을 기비와 추비를 1:1 비율로 하되, 추비도 2회로 나누어 주는 것이 좋으며, 2년차에는 추비만 시용하는데 1:1 비율로 나누어 주면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다.

출처 : 다락골사랑-누촌애
글쓴이 : 다락골사랑 원글보기
메모 :